의약 및 바이오프로세스 이온교환수지
TRILITE 이온교환수지 및 합성흡착제는 다양한 의약품 및 식품 원료 물질의 분리/정제(Separation & Purification) 공정에 사용이 가능하며 대표적인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.
-
비전해질(Non-electrolytes)과 전해질(Electrolytes)의 분리 : 양이온 및 음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비전해질(전분당 등)에서 전해질(다양한 양이온, 음이온성 불순물)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전분당 정제, 설탕 정제, 솔비톨 정제, 글리세린 정제, 젤라틴 정제 공정이 대표적입니다.
-
양쪽성 전해질(Amphoteric electrolytes)의 분리 : 아미노산(Amino acids) 및 항생물질(Antibiotics) 중에는 특성 pH에서 양이온 또는 음이온으로 해리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이온교환하여 분리하는 공정이 있고 라이신 분리/정제, 핵산의 분리/정제가 대표적입니다. 또한 등전점(Isoelctric points)의 pH에서 이온배제크로마토그래피(Ion-exclusion chromatography)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는 데 알지닌(Arginine)의 분리/정제가 대표적입니다. 비극성기를 가진 아미노산의 경우에는 등전점에서 합성흡착제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L-아이소루신(L-isoleucine)의 분리/정제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.
-
분자량(Molecular weight)의 차이 또는 친수성(Hydrophilic)/소수성(Hydrophobic) 등의 차이에 의한 분리 : 다양한 세공 크기(Pore size) 및 비표면적(Surface area)을 가진 합성흡착제를 이용하여 분자체(Molecular sieve)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리하거나, 비극성 물질의 경우 Van der waals forces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Cephalosporin C의 분리 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. 합성흡착제는 이외에도 다양한 의약품/식품의 분리/정제/탈색 등에 다양하게 사용됩니다.
※ 전해질(Eclectrolytes) : 물 등의 용매에 용해되어 이온으로 해리되며 전류를 흐르게 하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이온교환수지가 교환 가능한 물질을 총칭합니다.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12e712_9a6fcd4475a242fda6402789889e47a1~mv2.png/v1/fill/w_940,h_380,al_c,q_85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12e712_9a6fcd4475a242fda6402789889e47a1~mv2.png)
기술자료
산회수
합성흡착제의 선택
설탕 정제
전분당 정제
글리세린 정제
젤라틴 정제
아미노산 분리/정제
당밀에서 설탕의 회수